2025년 1월 20일 (월) QT / 새벽기도회(레14:1-57)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울제일교회 작성일25-01-20 04:55 조회57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월 20일(월) 레14:1-57
1) 본문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 나병 환자가 정결하게 되는 날의 규례는 이러하니 곧 그 사람을 제사장에게로 데려갈 것이요 3 제사장은 진영에서 나가 진찰할지니 그 환자에게 있던 나병 환부가 나았으면 4 제사장은 그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명령하여 살아 있는 정결한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오게 하고 5 제사장은 또 명령하여 그 새 하나는 흐르는 물 위 질그릇 안에서 잡게 하고 6 다른 새는 산 채로 가져다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와 함께 가져다가 흐르는 물 위에서 잡은 새의 피를 찍어 7 나병에서 정결함을 받을 자에게 일곱 번 뿌려 정하다 하고 그 살아 있는 새는 들에 놓을지며 8 정결함을 받는 자는 그의 옷을 빨고 모든 털을 밀고 물로 몸을 씻을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니 그 후에 진영에 들어올 것이나 자기 장막밖에 이레를 머물 것이요 9 일곱째 날에 그는 모든 털을 밀되 머리털과 수염과 눈썹을 다 밀고 그의 옷을 ᄈᆞᆯ고 몸을 물에 씻을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라 10 여덟째 날에 그는 흠 없는 어린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된 흠 없는 어린 암양 한 마리와 또 고운 다루 삼분의 삼 에바에 기름 섞은 소제물과 기름 한 록을 취할 것이요 11 정결하게 하는 제사장은 정결함을 받을 자와 그 물건들을 회막 문 여호와 앞에 두고 12 어린 숫양 한 마리를 가져다가 기름 한 록과 아울러 속건제로 드리되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고 13 그 어린 숫양은 거룩한 장소 곧 속죄제와 번제물 잡는 곳에서 잡을 것이며 속건제물은 속죄제물과 마찬가지로 제사장에게 돌릴지니 이는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14 제사장은 그 속건제물의 피를 취하여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에 바를 것이요 15 제사장은 또 그 한 록의 기름을 취하여 자기 왼쪽 손바닥에 따르고 16 오른쪽 손가락으로 왼쪽 손의 기름을 찍어 그 손가락으로 그것을 여호와 앞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17 손에 남은 기름은 제사장이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 곧 속건제물의 피 위에 바를 것이며 18 아직도 그 손에 남은 기름은 제사장이 그 정결함을 받는 자의 머리에 바르고 제사장은 여호와 앞에서 그를 위하여 속죄하고 19 또 제사장은 속죄제를 드려 그 부정함으로 말미암아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속죄하고 그 후에 번제물을 잡을 것이요 20 제사장은 그 번제와 소제를 제단에 드려 그를 위하여 속죄할 것이라 그리하면 그가 정결하리라 21 만일 그가 가난하여 그의 힘이 미치지 못하면 그는 흔들어 자기를 속죄할 속건제를 위하여 어린 숫양 한 마리와 소제를 위하여 고운 가루 십분의 일 에바에 기름 섞은 것과 기름 한 록을 취하고 22 그의 힘이 미치는 대로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새끼 둘을 가져다가 하나는 속죄제물로, 하나는 번제물로 삼아 23 여덟째 날에 그 결례를 위하여 그 것들을 회막 문 여호와 앞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24 제사장은 속건제의 어린 양과 기름 한 록을 가져다가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고 25 속건제의 어린 양을 잡아서 제사장은 그 속건제물의 피를 가져다가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에 바를 것이요 26 제사장은 그 기름을 자기 왼쪽 손바닥에 따르고 27 오른쪽 손가락으로 왼쪽 손의 기름을 조금 찍어 여호와 앞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28 그 손의 기름은 제사장이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 곧 속건제물의 피를 바른 곳에 바를 것이며 29 또 그 손에 남은 기름은 제사장이 그 정결함을 받는 자의 머리에 발라 여호와 앞에서 그를 위하여 속죄할 것이며 30 그는 힘이 미치는 대로 산비둘기 한 마리나 집비둘기 새끼 한 마리를 드리되 31 곧 그의 힘이 미치는 대로 한 마리는 속죄제로, 한 마리는 소제와 함께 번제로 드릴 것이요 제사장은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여호와 앞에 속죄할지니 32 나병 환자로서 그 정결예식에 그의 힘이 미치지 못한 자의 규례가 그러하니라 33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34 내가 네게 기업으로 주는 가나안 땅에 너희가 이를 때에 너희 기업의 땅에서 어떤 짐에 나병 색점을 발생하게 하거든 35 그 집 주인은 제사장에게 가서 말하여 알리기를 무슨 색점이 집에 생겼다 할 것이요 36 제사장은 그 색점을 살펴보러 가기 전에 그 집안에 있는 모든 것이 부정을 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집을 비우도록 명령한 후에 들어가서 그 집을 볼지니 37 그 색점을 볼 때에 그 집 벽에 푸르거나 붉은 무늬의 색점이 있어 벽보다 우묵하면 38 제사장은 그 집 문으로 나와 그 집을 이레 동안 폐쇄하였다가 39 이레 만에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벽에 퍼졌으면 40 그는 명령하여 색점 있는 돌을 빼내어 성 밖 부정한 곳에 버리게 하고 41 또 집 안 사방을 긁게 하고 그 긁은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에 쏟아버리게 할 것이요 42 그들은 다른 돌로 그 돌을 대신하며 다른 흙으로 집에 바를지니라 43 돌을 빼내며 집을 긁고 고쳐 바른 후에 색점이 집에 재발하면 44 제사장은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만일 집에 퍼졌으면 악성 나병인즉 이는 부정하니 45 그는 그 집을 헐고 돌과 그 재목과 그 집의 모든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으로 내어 갈 것이며 46 그 집을 폐쇄한 날 동안에 들어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요 47 그 집에서 자는 자는 그의 옷을 빨 것이요 그 집에서 먹는 자도 그의 옷을 빨 것이니라 48 그 집을 고쳐 바른 후에 제사장이 들어가 살펴보아서 색점이 집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이는 색점이 나은 것이니 제사장은 그 집을 정하다 하고 49 그는 그 집을 정결하게 하기 위하여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다가 50 그 새 하나를 흐르는 물 위 질그릇 안에서 잡고 51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 실과 살아있는 새를 가져다가 잡은 새의 피와 흐르는 물을 찍어 그 집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52 그는 새의 피와 흐르는 물과 살아 있는 새와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실로 집을 정결하게 하고 53 그 살아 있는 새는 겅 밖 들에 놓아주고 그 집을 위하여 속죄할 것이라 그러면 정결하리라 54 이는 각종 나병 환부에 대한 규례니 곧 옴과 55 의복과 가옥의 나병과 56 돋는 것과 뽀루지와 색점이 57 어느 때는 부정하고 어느 때는 정함을 가르치는 것이니 나병의 규례가 이러하니라
2) 묵상 <문둥병의 정결규례>
1. 문둥병에서 정결함을 받을 자가 장막에 들어올 수 있는 때는?(14:8)
칠 일 간 밖에서 머물고 들어옴.
정결 의식이 끝나자마자 백성과 어울린 것이 아니라 진 밖에서 칠 일 간 자기 연단의 시간을 가져야 했습니다.
성도들도 죄를 회개하고 자복했다고 해서 전과 다름이 없다고 자만하지 말고 근신하며 삼가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주님! 회개가 내죄의 면죄부가 아닌 성화의 밑거름이 되게 하소서.
2.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새끼 둘을 취하는 이유는?(14:22)
하나는 속죄 제물로 삼고 다른 하나는 번제물로 삼기 위해서임. 하나님은 재물의 많고 적음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헌신하려는 마음을 중시하십니다. 주님! 성심을 다하여 주님의 삶을 닮아가기에 힘쓰는 삶되게 하소서.
3. 집에 색점이 생긴 경우 맨처음 해야 할 일은?(14:34)
집주인이 제사장에게 와서 그런 사실을 고해야 함. 사람들은 속일 수 있어도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꿰뚫어 보고 계시므로 죄를 은폐하려 하지 말고 먼저 죄를 자복하고 회개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주님! 매일 삶속에서 짓는 죄를 자복하고 회개하며 주님께로 다가가게하소서.
4. 그 말을 들은 제사장은 어떻게 했나?(14:36)
그 집을 비우도록 한 다음 살펴보았음.
그 집에 그냥 머물도록 내버려두면 언제 문둥병이 그 집주인에게 옮겨 붙을지 알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죄악이 침투해 들어오지 못하도록 우리의 마음문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주님! 문둥병 즉 죄악이 내 삶에 붙어있지 않도록 말씀으로 무장되게 하소서.
5. 문둥병으로 인한 부정의 범위는(14:54-56)?
옴, 의복과 가옥의 문둥병, 붓는 것과 피부병, 색점 등.
문둥병으로 상징된 죄악은 우리의 마음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주변 환경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므로 내 마음과 내 교회와 내 직장, 내 집 등 내 주변 환경까지 정결하게 해야 합니다.
주님! 정결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강권하여 주옵소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